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대한민국 게임대상 우수상 2019
모바일게임
팔로우 다운로드
8.5

재밌어요

5.9

유저평점

[공커 위클리] 블소 레볼루션 사형들의 뜨거운 인증 행사 참여 열기

안녕하세요. ‘블레이드 앤 소울 레볼루션(이하 블소 레볼루션)’ 공커 위클리 시간입니다. 지난 업데이트로 등장한 ‘신령의 탑’ 10층과 ‘어둠의 핏빛 상어항’에 사형들이 관심이 쏠렸죠. 관련 인증 행사 일정도 막바지라 열기가 더 뜨거웠습니다. 관련 행사 일정과 한 주간의 공식 커뮤니티 이슈를 공커 위클리를 통해 살펴보시죠.

금주의 공커 이슈

인증 행사 막바지, 뜨거운 참여 열기!

▲ 공식 커뮤니티의 막바지 인증 열기 (사진출처: 블소 레볼루션 공식 커뮤니티)

마감을 앞둔 공식 커뮤니티 인증 행사 2종이 있습니다. 지난 업데이트로 열린 ‘신령의 탑 10층’과 신규 던전 ‘어둠의 핏빛 상어항’이 대상이죠. 두 인증 행사 모두 입장해 인증 샷만 찍으면 되는 간단한 조건이라 사형들의 참여가 몰리고 있습니다. 게다가 참여 기간이 9월 10일 23시 59분으로 얼마 남지 않아 막바지 화력이 뜨겁네요.

▲ 인증 행사 2종의 정보 (자료출처: 블소 레볼루션 공식 커뮤니티)

신령의 탑 10층 인증에 참여하면 100명을 추첨해 ‘신령의 이슬 상자’ 2개를 증정합니다. 어둠의 핏빛 상어항 역시 100명을 추첨해 전설, 영웅 입장권 조각을 각각 400개를 지급할 예정이죠. 두 인증 행사 모두 사진에 캐릭터 이름이 나와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고 참여를 서두르세요.

이슈 질문 & 답변

Q. ‘무극 정수’를 판매하는 상점은 없나요?

▲ 주화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최상급 홍문 진기 꾸러미’ (사진: 국민트리 촬영)
▲ 홍문 진기 성장, 잠재력 아이템 획득처 (자료출처: 블소 레볼루션 공식 커뮤니티)

‘오타니’ 님은 지난 업데이트로 60단계까지 확장된 홍문 진기를 육성 중인 것 같군요. 홍문 진기 성장 재화 중 무극 정수 수급처에 관한 질문을 남겼습니다. 홍문 진기 성장에 필요한 정수는 주간 던전과 필드 보스 등 여러 콘텐츠에서 얻을 수 있는데요, 주화 상점에서 구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오타니 님은 격노 정수와 투지 정수는 증표 상점에서 찾았지만 무극 정수를 찾지 못해 도움을 요청했죠.

관련 내용은 공식 커뮤니티의 ‘게임 가이드’ 게시판, ‘홍문 진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극 정수의 수급처 중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은 ‘던전 도움 상점’으로 안내되어 있군요. 이는 과거 던전 도움 기능이 있던 시절의 상점이므로 현재 이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던전 마일리지 상점을 살펴보세요. 90 주화로 홍문 진기 3종의 정수가 담긴 ‘최상급 홍문 진기 꾸러미’를 살 수 있답니다.

놓치지 말자! 최신 뉴스

3차 직업 밸런스 개선은 어땠나요?

▲ 3차 직업 밸런스 개선 의견 제출 행사 정보 (자료출처: 블소 레볼루션 공식 커뮤니티)

8월 말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직업의 밸런스 조정이 이뤄졌죠. 이에 ‘GM하린’이 사형 여러분의 솔직한 의견을 듣고자 관련 행사를 열었습니다. 공식 커뮤니티 ‘진행 중 이벤트’ 게시판에 방문해 해당 행사 게시글을 살펴보세요. 투표 항목에 3차 직업 밸런스 개선 의견을 작성한 뒤 제출하면 되는 간단한 행사입니다. 참여만 해도 ‘상급 올인원 재련석 꾸러미’ 3개를 손에 넣을 수 있으며, 추가로 100명을 추첨해 ‘전설 무공서 조각’ 10개를 지급하죠. 기간은 9월 10일 23시 59분까지니 일정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너나들이 인터뷰

열세 상황에서 빛나는 음양사의 전략!

▲ 경국지색 음양사 ‘반할텐데’ (사진: 국민트리 촬영)

지난 주인공 ‘진이’ 님은 총세력장을 연속 역임할 정도로 전장 콘텐츠에 열중하고 있었죠. 매번 서버 이전을 하더라도 세력은 바꾸지 않고 혼천교에서만 활동하는 사형이었습니다. 콘텐츠 참여율이 높은 만큼 전장에서 부딪히는 사람이 많아 알고 지낸 지인이라면 공격을 주저하기도 한다는데요, 그중 한 명인 ‘반할텐데’ 님을 오늘의 주인공으로 지목했습니다. 반할텐데 님 역시 부세력장을 맡고 있어 콘텐츠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죠.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합니다.

A. 반갑습니다! 쟁이 발생한 곳에 언제나 있는 반할텐데라고 합니다.

Q. 인터뷰 시간 직전까지 전장에 있다가 왔습니다. 열정이 대단하네요.

A. 서버 이전이 끝나고 요즘 한참 열기가 오른 상태라 최대한 참여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Q. 안 그래도 지난 주인공 진이 님이 자주 만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A. 자주가 아니라 거의 맨날 만나요. 타깃이 잡히면 슬며시 옮긴다고 이야기했던데, 저도 타깃이 잡히면 살짝 망설여지더라고요. (웃음)

Q. ‘무림맹 가서 행복함?’이라는 장난 섞인 질문을 남겼습니다.

A. 서버 이전하면서 살짝 잡음이 있었죠. 일단은 현재 무림맹 소속이니 쟁에 빠지지 않으며 콘텐츠로 즐기고 있습니다.

Q. 음양사로 부세력장을 달성한 건가요?

▲ 현재 경국지색 무림맹 세력 랭킹 6위 (사진: 국민트리 촬영)

A. 네. 원래는 싸울아비를 했었고, 음양사가 출시하자마자 바로 직업을 변경했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새 직업이 나왔으니 한다는 의무감이었어요. 그런데 역체감이 커 처음엔 꽤 후회했습니다.

Q. 어떤 점이 문제였나요?

A. 싸울아비와 다르게 스치면 바로 죽더라고요. 다들 싸울아비에서 다른 직업으로 바꿀 때는 역체감을 각오하길 바랍니다.

Q. 그럼에도 전장에서 활약하는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A. 아무래도 초기에 적응 시간이 꽤 걸렸어요. 지금은 음양사의 무공과 연계한 전략을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Q. 어떤 전략인가요?

A. 현재 저희 무림맹이 전장에서 인원이 살짝 밀리는 상황인데요, 상대와 대치 중일 때 앞으로 나가지 못하거나 연속킬을 달성한 분이 뒷자리에 있을 때 이른바 ‘다이빙’을 해야 합니다. 적진 한복판에 뛰어들어가 진영을 흩트리고, 가능하다면 제압까지 해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것이죠.

Q. 열세 쪽에서 취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인 것 같습니다.

▲ 순간적인 화력으로 상대 진영을 붕괴시키는 ‘음양사’ (사진출처: 블소 레볼루션 공식 커뮤니티)

A. 그렇죠. 그리고 음양사는 순간 대미지가 강해 뛰어내렸을 때 호신이 되는 분들이 꽤 나와요. 그럴 때마다 저도 새삼 음양사의 화력에 놀라기도 합니다.

Q. 다이빙 상황에서 주로 어떤 무공 연계를 사용하나요?

A. 상대에 원거리 직업이 많을 때 바로 궁극기를 사용한다는 느낌으로 무공을 쏟아요. 필살 자세로 넘어가기 위해 ‘쌍룡파’를 시작하고, 음양지의 음영 상태에서 ‘전광석화 – 현백신룡 – 검은파도’를 쓴 후 일반 자세로 돌아옵니다. 물론, 살아있다면요. (웃음)

Q. 음양사 노하우가 생길 정도로 잘 활용하고 있으니, 이번 무료 직업 변경권 사용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 메카 랭킹 전투력 랭커 사이에서도 요동치는 직업 비율 (자료: 국민트리 제작)

A. 아직 재밌게 하고 있는 데다 성능도 좋아 음양사로 남을 계획입니다. 다만, 최근 직업 비율이 많이 변해 ‘기검사’가 부쩍 늘었죠. 음양사로 상대하기가 살짝 버거울 때도 있는데, 그럭저럭 괜찮은 것 같습니다.

Q. 블소 레볼루션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

A. 캐릭터 성장을 좀 더 시원시원하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필드 사냥 시 파티를 짜기가 너무 힘들어요. 개인 경험치를 ‘수땅’이나 ‘신탑’같은 파티 경험치 수준으로 높여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우리 ‘잘알텐데’ 무기 20강 완성시켜 줬으면 좋겠네요. (웃음)

Q. 다음 너나들이 인터뷰 주인공 지목을 부탁합니다.

A. 자고 일어나면 직업이 바뀌어 있는 ‘프로 직변러’, 도원결의 ‘핫콩’ 님을 지목하겠습니다. 오래전부터 적, 아군으로 자주 만난 분이에요. 지금은 떨어져서 비무로 종종 조우하죠. 지금도 볼 때마다 직업이 바뀌더라고요. 이번에 대대적인 직업 개선이 있었으니 근황이 궁금합니다!

유저분들이 바라보는 시선에 깊이를 더해, 무엇이든 체험하고 직접 확인하겠습니다. 콘텐츠기획팀 기자/사원

SNS 화제

댓글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은 필수 입력 항목입니다.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

*

비밀번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