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 스틸얼라이브

모바일게임
팔로우 다운로드
8.3

재밌어요

4.9

유저평점

[A3: 스틸얼라이브 꿀팁] 제작 방법 추가된 고급 피와 성수 추천 활용법

지난 6일, A3: 스틸얼라이브 7월 업데이트로 성수(고급)와 혼돈의 피(고급) 제작 방법이 추가됐다. 제작에는 각 일반 재료 5개와 100만 골드가 필요하다. 원래 구하기 어려웠던 고급 재료를 일반 재료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만큼 어디에 이를 활용해야 할지 궁금해하는 유저가 많다. 이에 국민트리에서 활용 추천 방법을 정리했다.

제작 방법 추가된 고급 성물 재료의 추천 활용 방법을 알아보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 제작 방법 추가된 고급 성물 축복 재료의 추천 활용 방법을 알아보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고급 성수와 혼돈의 피, 성물 +6 축복 강화가 최우선

이제 일반 성수와 혼돈의 피는 성물 축복에 사용하지 말고, 전부 고급으로 제작해 성물 축복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우선 혼돈의 피(고급)를 성물에 사용하고, 이후 성수(고급)만 사용해 축복하는 것이다. 이때 노려야 하는 건 성물 +6 축복이다. 혼돈의 피(고급)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1 축복에서 시작하기에 7번의 기회 중 5번만 성공하면 +6 축복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7축복에 성공하는 것이 더 좋지만, 7번의 기회에서 6번 성공하는 걸 노리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니 +6 축복을 노리고, 나머지 +1은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여신의 자비’로 강화를 추천한다. 혹은 마지막 기회에 최고급 성수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면 고급 재료 제작을 위한 일반 성수와 혼돈의 피는 어디서 구하는 게 가장 좋을까? 추천하는 건 블루다이아를 소모해 상점에서 매일, 매주 구매하는 것이다. [상점] – [성장] – [성물] 메뉴를 확인하면 정화의 이슬은 매일 300블루다이아에 300개, 혼돈의 피(일반)은 300블루다이아에 1개를 판매한다. 이를 꾸준히 구매해 제작하자.

이네트리온 명예 상점에서도 훈장을 소모해 일반 혼돈의 피와 정화의 이슬을 구매할 수 있지만, 추천하지 않는다. 이네트리온 명예 훈장은 여기에 쓰기보다 영웅 이성의 불꽃, 상급 룬 조각 선택 주머니(20개), 고급 용기/생기의 스킬 강화석을 구매하는 편이 훨씬 효율적이다.

▲ 고급 혼돈의 피로 초기화하고, 고급 성수로 축복을 시도하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정화의 이슬과 혼돈의 피(일반)를 상점에서 꾸준히 구매하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 정화의 이슬과 혼돈의 피(일반)를 상점에서 꾸준히 구매하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성물 +6 축복 강화 이후 축복받은 신념과 맹약을 강화하자

앞서 언급한 방법으로 성물 +6 축복에 모두 성공했다면, 이제 남는 성물 재료는 축복받은 신념과 맹약을 강화하는 데 활용하자. 강화에는 성수(고급)와 혼돈의 피(고급)가 소모되며, 5~6단계 기준 8레벨까지, 7단계 기준 20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전투력은 신념이 더 오르나 그만큼 더 많은 성수와 혼돈의 피가 필요하다. 또한, 레벨이 오를수록 요구하는 재료가 많아지니 재료당 오르는 경험치 수치를 확인하고 두 종류를 고르게 올리자. 단, 장신구인 축복받은 맹약이 7단계를 달성하기 더 쉬운 편이라 이곳에 먼저 투자하는 편이 좋다.

모든 성물을 +6 축복까지 달성했으면, 남는 재료는 이곳에 사용하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 모든 성물을 +6 축복까지 달성했으면, 남는 재료는 이곳에 사용하자 (사진: 국민트리 촬영)
7단계에는 20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 7단계에는 20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이승범’이라는 이름보다 ‘그란비아’라는 닉네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인생을 멋지게 살기보다는 재미있게 살고자 합니다. 콘텐츠 기획팀 기자/사원

SNS 화제

댓글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은 필수 입력 항목입니다.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

*

비밀번호 찾기